가치주란 기업의 가격이 실제 펀더멘털 지표보다 낮아 저평가되어있는 주식을 말한다. 이러한 가치주를 찾는데 POR, PER 지표를 활용할 수 있다. 매출액 -> 매출총이익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순으로 시가총액과 비교하여 현재 기업이 고평가 되어있는지 저평가되어있는지를 볼 수 있다. 지난번에는 매출액을 통해 PSR지표를 구했고, 매출총이익을 통해 PGPR을 구했었다. 이번에는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차례이다.
[주식 기초] PSR, PGPR란 (with PSR, PGPR, POR, PER 전략 백테스팅)
시가총액 대비 기업의 주요 재무제표 지표들을 공부할 필요가 있다. 기업의 주식 가격이 고평가다 저평가다 판단하는 기준이 시가총액이 기업을 평가하는 지표보다 높으면 현재 고평가 되어있
work4happiness.com
POR (Price to Operating-income Ratio) 란
POR이란 주가 영업이익비율이다. 해당 주식이 기업의 영업이익 몇 배만큼의 가격에 거래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다. 수식으로 나타내면 POR = 시가총액 / 최근 분기영업이익이다. 영업이익은 매출총이익에서 판매비와 관리비를 빼서 구한다. POR이 높으면 영업이익 대비 시가총액이 높은 기업은 고평가, POR이 낮으면 영업이익 대비 시가총액이 낮은 기업은 저평가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PER, PBR 등의 지표보다는 덜 사용되는 지표이나 주가의 저평가 종목을 찾을 때 참고할 수 있는 지표이다.
실제로 POR이 낮은 종목에 투자했을 때의 연복리수익률을 퀀터스를 통해 구해보았다. x축은 1st, 2st,... , 10st로 갈수록 POR이 커지는 순서이다. 다시 말해 1st, 2st, ... , 10st로 갈수록고평가 된 주식들이다. 이 주식들의 연복리 수익률(CAGR)을 보면 앞쪽에 저평가된 주식들일 수록 연복리수익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래프로 나타내보아도 마찬가지이다. 즉, POR이 커질수록, 즉 고평가 된 주식에 투자할수록 수익률은 낮아진다. POR이 저평가된 주식을 찾는데 도움이 되는 지표가 맞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ER(Prece Earning Ratio)란
PER이란 주가수익비율, 당기순이익에 비해 시가총액이 높은지 낮은 지를 판단하는 지표다. 매출액 -> 매출총이익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에서 드디어 마지막 당기순이익까지 내려온 것이다. PER = 시가총액 / 최근 분기 당기순이익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당기순이익 대비 시가총액이 높은 기업은 고평가, 당기순이익 대비 시가총액이 낮은 기업은 저평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제 PER가 낮은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연복리수익률(CAGR)을 높이는 효과를 주는지 퀀터스를 통해 확인해 보았다. 결과는 PER이 낮은 기업에 투자할 경우에 연복리수익률(CAGR)이 높게 나왔다.
요약
저평가된 가치주를 찾는데 POR(Price to Operating-income Ratio), PER(Price Earning Ratio) 지표를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해보았다. 퀀터스 팩터검증을 통해 두 지표 모두 낮은 POR, 낮은 PER에 투자하는 것이 연복리수익률이 높게 나올 수 있는 유효한 지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재테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기초] 성장가치주 전략 (with 퀀터스), 퀀트 투자 망설여지는 이유 (0) | 2023.01.04 |
---|---|
[주식기초] 성장주 지표- 매출성장률, 매출총이익성장률, 영업이익성장률, 순이익성장률 (0) | 2023.01.04 |
[주식 기초] PSR, PGPR란 (with PSR, PGPR, POR, PER 전략 백테스팅) (0) | 2023.01.01 |
[퀀트투자] MDD를 낮춰줄 퀀트 투자, 퀀터스 포트폴리오 추출 연습 (0) | 2022.12.30 |
[재테크 목표설정] 저축, 소비, 수익률 목표 정하기 - 낙원계산기 이용 (0) | 2022.12.30 |
댓글